예방접종 1차접종률 전 국민 60% 넘어(9.7., 정례브리핑)
– 어제 하루 약 136만 명이 예방접종, 추석 전까지 3,600만 명 목표 달성 전망 –
◆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○ 오늘 오전 10시 30분 1차접종 전 국민의 60% 넘어, 18세 이상 성인의 69.9%에 해당○ 어제 하루 약 136만 명 접종, 예방접종 시작 이래 일일 최다 접종 ◆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○ 우리나라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 231명, 주간 사망자 1명, 누적 치명률 0.9%로 지속적으로 감소 ○ 주요국 대비 주간 확진자(미국 3,450명, 독일 842명, 이스라엘 7,692명), 주간 사망자(미국 25명, 영국 11명, 이스라엘 21명) 모두 낮아 ◆ 학생 연령대 발생 현황 및 예방접종효과○ 7월부터 초·중·고 및 대학생 전 연령대 발생 증가 후 소폭 감소 ○ 16~18세에서 98.4%, 19~24세에서 92.4%의 감염예방효과 확인 |
1. 코로나19 예방접종, 1차접종률 전 국민 60% 넘어 |
□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(단장: 정은경 청장, 이하 “추진단”)은 9월 7일 오전 10시 30분 기준으로 누적 1차접종자가 전 국민의 60%를 넘었으며, 18세 이상 성인의 69.9%에 해당한다고 밝혔다.
○ 오늘 오전 10시 30분 기준 1차접종자는 30,878,725명으로, 전 국민의 60.1%이며, 이 중 18,508,241명이 접종을 완료(총 인구대비 36.0%)하였다.
– 특히, 어제 하루 동안 약 136만 명이 예방접종을 받아,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시작한 이래 일일 최대 접종자수를 경신하였다.
○ 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1차접종 기준으로 60대가 93.3%로 가장 높았으며, 접종완료 기준으로는 70대가 88.4%로 가장 높았다.
– 특히, 50대 이상 1차접종률이 90% 이상이고, 18~49세 접종은 사전예약에 따라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, 어제부터 50대 연령층의 2차접종이 시작된 만큼, 50대 이상 고위험군의 접종완료율도 빠르게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.
【연령별 접종현황(9.7. 10시 30분 기준)】
구분 | 인구(명)* | 1차 접종 | 접종 완료 | |||
1차접종자(명) | 인구 대비 접종률(%) | 접종완료자(명) | 인구 대비 접종률(%) | |||
계 | 51,349,116 | 30,878,725 | 60.1 | 18,508,241 | 36.0 | |
18세 이상 | 44,139,260 | 30,863,434 | 69.9 | 18,494,854 | 41.9 | |
연령 | 80세 이상 | 2,255,736 | 1,864,229 | 82.6 | 1,781,648 | 79.0 |
70∼79 | 3,757,129 | 3,475,451 | 92.5 | 3,319,683 | 88.4 | |
60∼69 | 7,140,703 | 6,660,888 | 93.3 | 6,082,407 | 85.2 | |
50∼59 | 8,570,076 | 7,853,926 | 91.6 | 2,070,965 | 24.2 | |
40∼49 | 8,109,221 | 3,925,711 | 48.4 | 1,774,028 | 21.9 | |
30∼39 | 6,686,639 | 3,308,167 | 49.5 | 1,821,594 | 27.2 | |
18∼29 | 7,619,756 | 3,775,062 | 49.5 | 1,644,529 | 21.6 | |
17세 이하 | 7,209,856 | 15,291 | 0.2 | 13,387 | 0.2 | |
* ’20.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(거주자) 기준※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|
□ 추진단은, 누적 1차접종자수가 4월 3백만(4.29.) 달성을 시작으로 6월 1천만(6.10.), 8월 2천만(8.3.), 9월 3천만(9.5.)을 달성함에 따라 그 속도를 높이고 있으며
– 8월 26일부터 시작된 18~49세 청장년층의 예방접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고, 잔여백신 접종도 매일 일정수준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, 추석 전까지 3,600만 명 1차접종 목표는 차질 없이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.
【누적 접종현황(9.7. 0시 기준) 그림 붙임 참조】
○ 또한, 백신 도입, 배송, 접종, 이상반응 모니터링으로 이어지는 접종 전반에 대해 철저하게 준비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접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.
2. 전자출입명부(QR정보) 활용 접촉자 추적조사 효율화 |
□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자출입명부(QR정보)를 활용하여, 확진자가 이용한 고위험*시설 방문자가 진단검사를 받도록 안내 문자를 발송하는 절차를 마련하여 지자체에 안내하였다고 밝혔다.
* 유흥시설(유흥주점, 단란주점, 클럽(나이트), 감성주점, 헌팅포차), 콜라텍·무도장, 홀덤펍·홀덤게임장, (코인)노래연습장, PC방 등
○ QR정보를 활용한 접촉자 추적조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역학조사지원 시스템을 개선하여, 확진자 이용시설 파악 소요시간을 기존 0.5일에서 5분으로 단축하였고, 원클릭으로 확진자 이용시설 방문자 명단을 신속 조회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였다.
– 또한, 시설 소재지 정보 및 고위험시설 여부를 손쉽게 구별가능하게 개선하여, 지자체 담당자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자 하였다.
3.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|
□ 우리나라의 주간 발생률, 주간 사망률, 누적 치명률은 주요 국가에 비해 낮은 상황이 유지되고 있다.
○ WHO기준(’21.8.29.~9.4.) 우리나라는 100만 명당 주간 확진자가 231명이며, 미국은 3,450명, 독일이 842명, 이스라엘은 7,692명으로 주요 국가들에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고, 일본은 1,074명으로 소폭 감소하였다.
* 영국 3449명, 프랑스 1433명
– 100만 명당 주간 사망자의 경우에도 우리나라는 1명이며, 미국은 25명, 영국은 11명, 이스라엘은 21명인 상황이다. 특히, 미국, 영국, 프랑스, 이스라엘에서 최근 증가세가 보이고, 우리나라는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.
* 프랑스 8.7명, 일본 2.1명, 독일 1.7명
– 누적 치명률의 경우, 우리나라는 0.9%로 이스라엘(0.6%) 다음으로 낮은 수준으로 보고되었으며,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.
<주요 7개국 주간 확진자 수(인구 100만 명당) 변화(’21.5.30.∼’21.9.4., WHO) 그림 붙임 참조>
<주요 7개국 주간 사망자 수(인구 100만 명당) 변화(’21.5.30.∼’21.9.4., WHO) 그림 붙임 참조>
<주요 7개국 누적 치명률 변화(’21.5.30.∼’21.9.4., WHO) 그림 붙임 참조>
4. 학생 발생 현황 및 예방접종 효과 |
□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초‧중‧고교 등교 확대 및 대학교 개강 등으로 대면접촉이 활발해 짐에 따라, 예방을 위한 방역수칙 준수 안내와 함께 발생상황과 예방접종 효과를 발표하였다.
○ (발생률 변화) 발생률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대학생 연령에 해당하는 19~24세였으며 다음은 중·고등학생 연령인 13세~18세이고 초등학생 연령대의 경우 가장 발생률이 낮았다.
– 환자발생은 6월 하순인 26주차부터 증가하여 8월 중순인 33주차까지 지속되다가 이후 정체 또는 소폭 감소경향을 보이고 있다.
* 분석 대상 : 만 7세 이상 만 24세 이하
* 분석 기간 : 23주(2021년 5월 30일~6월 5일) ~ 36주(8월 29일~9월 4일)
【주별 7~24세 연령대별 인구 10만 명당 일평균 발생률 그림 붙임 참조】
○ (집단사례 현황) 최근 2주(8월 22일~9월 5일) 주요 집단발생은 총 19건으로 고등학교 9건, 대학교·학원 각 3건, 초등학교·중학교 각 2건이었고,
– 집단발생 1건당 확진자수는 16.1명(시설 내 9.6명, 시설 외 6.5명)이었으며, 집단발생 사례 중 약 60%가 학교 또는 학원 내에서 발생하였다.
【최근 2주 시설 유형별 코로나19 집단발생 현황 (‘21.8.22.∼9.4.)】
구분 | 계 | 초등학교 | 중학교 | 고등학교 | 대학교 | 학원 | 건당 평균(명) | ||
집단발생건수(건) | 19 | 2 | 2 | 9 | 3 | 3 | – | ||
관련확진자수(명) | 306 | 27 | 24 | 168 | 49 | 38 | 16.1 | ||
시설내 | (명) | 183 | 20 | 9 | 97 | 32 | 25 | 9.6 | |
(%) | (59.8) | (74.1) | (37.5) | (57.7) | (65.3) | (65.8) | (59.6) | ||
시설외 | (명) | 123 | 7 | 15 | 71 | 17 | 13 | 6.5 | |
(%) | (40.2) | (25.9) | (62.5) | (42.3) | (34.7) | (34.2) | (40.4) |
* 역학조사결과 변동 가능
○ (외부활동을 통한 집단사례) 특히, PC방, 코인노래방, 학원 등 학교 외부 활동을 통해 감염되어 학내 및 다른 가족으로 전파하는 집단감염 사례도 다수 발생하여 이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.
집단사례명 | 주요 전파경로 | 총환자 수(9.7. 0시 기준) | |
계 | 집단 내 구분 | ||
서울 은평구학원 관련 | 학원 내 감염 | 15명 | 학생 15명 |
서울 강남구고등학교/학원 관련 | 학원→학교/가족/지인 | 14명 | 학교 관련 6명, 학원 관련 4명, 가족 2명, 지인 2명 |
경기 화성시태권도 학원 | 학원→가족/지인 | 16명 | 원생 9명, 종사자 3명, 가족 3명, 기타 1명 |
충남 태안군코인노래방 관련 | 노래방→2개 학교/가족/지인 | 15명 | 3개교 학생 14명, 가족 1명 |
대구 서구고등학교 관련 | 노래방, PC방→ 2개 학교/가족/지인 | 41명 | 7개교 학생 31명, 가족 및 지인 10명 |
제주 제주시입시학원 관련 | 학원→학교/가족/지인 | 64명 | 6개교 학생 31명, 강사 7명, 가족 10명, 기타 16명 |
○ 한편, 16~18세 및 19~24세 연령군에서 8월 1일부터 8월 29일까지 코로나19백신 감염예방효과를 분석한 결과, 높은 감염예방효과가 나타났다.
– 16~18세에서 감염예방효과는 98.4%(미접종군 153.08명/10만 명, 접종완료군 2.43명/10만 명), 19~24세 감염예방효과는 92.4%(미접종군 268.05명/10만 명 → 접종완료군 20.40명/10만 명)였다.
○ 방대본은 “아직 학생연령층에서 예방접종 완료인구가 제한적인 한계는 있으나, 학생연령층 초기분석에서도 높은 예방효과가 확인된 점은 큰 의의가 있다.”고 설명하였다.
* 접종완료군: 백신종류별 권장횟수 접종 후 14일 이상 경과자